Network

[Network] GET 요청/ POST 요청 차이점

하부루 2024. 6. 9. 20:44

1. GET 요청

GET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할 때 사용한다.

[GET 요청의 특징]

  • URL에 변수(데이터)를 포함시켜 요청
  • 파라미터에 내용이 노출되기 때문에 민감한 정보는 다루지않는다.

 

2. POST 요청

POST는 정보를 생성/업데이트 할때 사용한다.

[POST 요청의 특징]

  • 전송할 데이터를 HTTP 메세지 body에 담아서 전송한다.
    • header에 Content-type에 body의 타입을 설정해줘야한다.
  • URL에 데이터를 노출 시키지 않고 요청한다.

 

3. GET 요청 과 POST 요청의 차이점

  • GET은 서버의 데이터를 요청할 때, POST는 생성/업데이트 할 때 사용한다.
  • GET에 비해 POST는 body에 데이터를 담아서 요청한다.
  • GET은 멱등 하며, POST는 멱등 하지않다.

 

4. 멱등이란?

멱등이란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 값이 달라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.

GET으로 데이터를 여러번 조회 하더라도 응답 값은 변하지 않는다. 그러나 POST는 생성/업데이트 할 때 사용하기에 응답 값이 변할 수 있으므로 멱등 하지않다.